10. FTX 거래소 펀딩비 수수료 및 지표 해석
펀딩비(Funding Fee)란 최신 시장가격이 현물가격과 큰 차이가 나지 않도록 롱과 숏의 비율을 맞추기 위한 일종의 수수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롱(Long) 포지션이나 숏(Short) 포지션이 대립하는 와중에 트레이더들은 매시간마다 상황에 따라 펀딩비를 주고받는 것입니다. 매시간이 되기 전에 포지션을 청산할 시에는 펀딩비를 지불하거나 받지 않습니다.
다른 거래소에서는 일반적으로 펀딩비가 8시간마다 지출되지만, FTX거래소는 1시간마다 펀딩비가 계산됩니다.
펀딩비(Funding Rate)가 +(양수)일 시에는 숏보다 롱에 포지션 비율이 더 높다는 의미로, 롱포지션이 1시간마다 본인 포지션의 펀딩비를 숏포지션에게 수수료로 지불합니다. 물론 수수료는 코인마다 다르며 비율에 따라 또 달라집니다. 펀딩비가 −(음수)일 시에는 반대로 롱보다 숏포지션의 비율이 더 높다는 의미기 때문에 숏포지션이 롱포지션에게 수수료를 지불합니다. 포지션을 종료하지 않는 이상 펀딩비는 매시간마다 계속 정산됩니다.
강세장에서는 한쪽으로 펀딩비가 크게 쏠릴 수밖에 없습니다.
FTX 펀딩비 확인하는 방법
1. 펀딩화면 접속
2. 원하는 코인의 펀딩비 조회
3. 과거 펀딩비 수수료 데이터 엑셀 파일 다운로드
1. FTX 접속 후 더보기(More) ➜ 펀드(Fund) 클릭
FTX거래소의 펀딩비율(Funding Rates)을 볼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접속하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며 코인 종류 상관없이 가장 최근 시간대에 지불, 지급한 펀딩비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펀딩 비율(Funding Rates)과 본인이 보유중인 포지션의 지불, 지급한 펀딩비를 보여주는 펀딩 수수료 지불 내역(Your Funding Payments)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원하는 코인 시간별 펀딩비 조회
펀딩 비율(Funding Rates) 배너 우측에 보시면 All futures를 눌러 코인 종류를 고르실 수 있습니다. 원하는 코인을 클릭하면 선택적으로 그 코인의 펀딩비를 시간순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저는 예시로 이더리움 무기한선물(ETH-PERP)을 클릭하여 펀딩비를 확인해보겠습니다.
3. 과거 펀딩비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
펀딩 비율 우측에 있는 구름 이모티콘(Download CSV)을 클릭하면 과거의 펀딩비 수수료의 데이터를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FTX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기간보다 더 긴 기간에 대한 펀딩비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펀딩비의 개념과 FTX 거래소에서 펀딩비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말씀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년 해외코인거래소 순위 및 추천 |
||||
|
|
|
|
|
거래량 |
11조 |
7.5조 |
9.5조 |
5조 |
언어 |
영어 |
영어 |
영어 |
★한국어지원 |
수수료 |
- 지정가: 0.02% - 시장가 : 0.04% |
- 지정가 : 0.02% - 시장가 : 0.03% |
- 지정가 : -0.025% - 시장가 : 0.060% |
- 지정가 : 0.02% - 시장가 : 0.07% |
특징 |
현물(1위) |
한국인선호(1위) |
선물(1위) |
★수수료최저 |
회원가입 |
||||
할인코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