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해외코인거래소 순위 및 추천 | |||
![]() |
![]() |
![]() |
|
거래량 | 11조 | 3.5조 | 9.5조 |
---|---|---|---|
언어 | 영어 | ★한국어지원 |
영어 |
수수료 | - 지정가 : 0.02% - 시장가 : 0.04%(1위) |
- 지정가 : 0.02% - 시장가 : 0.03% |
- 지정가 : -0.025% - 시장가 : 0.075% |
분야 | 현물(1위) |
현물+선물 (강추!) |
선물(1위) |
회원가입 | 회원가입 | 회원가입 | 회원가입 |
할인코드 | 20% 할인 | 50% 할인 | 20% 할인 |
도지코인, 브래그 하우스 합병으로 나스닥 입성… 글로벌 결제 시대 가속화
2025.10.15 17:39
도지코인, 브래그 하우스 합병으로 나스닥 입성… 글로벌 결제 시대 가속화
도지코인, 제도권 진입의 전환점 맞이
도지코인 재단 산하 자회사 ‘하우스 오브 도지(House of Doge)’ 가 브래그 하우스 홀딩스(Bragg House Holdings, TBH) 와 합병을 통해 나스닥(NASDAQ) 에 상장하면서, 도지코인의 제도권 진입이 한층 빨라지고 있다.
이번 합병은 단순한 기업 결합을 넘어, DOGE를 글로벌 결제 인프라로 발전시키는 핵심 전략적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현재 DOGE는 0.20달러 부근에서 거래 중이지만, 애널리스트들은 “단기 조정 구간 이후 반등세가 재개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한다.
하우스 오브 도지, 나스닥 상장으로 ‘DOGE 실물화’ 추진
하우스 오브 도지는 브래그 하우스와의 역합병(Reverse Merger) 을 통해 정식으로 나스닥에 진입했다.
브래그 하우스는 Z세대 게이머와 대학 이스포츠, 스트리밍 중심 플랫폼으로 알려져 있으며, 합병 발표 전부터 주가가 40% 이상 급등하며 시장의 기대를 입증했다.
상장을 통해 하우스 오브 도지는 자본 조달력과 기관 접근성을 확보하며, 도지코인 결제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일론 머스크의 개인 법률 고문진이 지원을 제공하며, ‘도지코인을 보편 결제수단으로 만든다’ 는 비전을 뒷받침하고 있다.
브래그 하우스의 게이밍 생태계와 DOGE 결합
브래그 하우스의 핵심 고객층은 게이머, 대학생, 콘텐츠 크리에이터다.
이들은 디지털 결제와 보상 시스템에 친숙한 세대로, 도지코인을 대회 참가비, 스트리밍 보상, 크리에이터 인센티브 등으로 도입할 경우 DOGE가 자연스럽게 ‘게임 내 통화’로 자리 잡을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단순한 상징적 제휴를 넘어 도지코인의 실질적 사용성(Utility) 을 확대한다.
DOGE는 향후 디지털 굿즈 결제, 팁, 마이크로 트랜잭션 등에서 대표적인 결제 토큰으로 성장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나스닥 상장 효과: 기관 투자 접근성 강화
나스닥 상장은 단순히 ‘명예로운 상징’이 아니라 도지코인의 제도권 진입 가속 장치가 된다.
이미 상장 기업인 브래그 하우스를 통한 합병은 DOGE가 기관 투자자와 전통 금융 네트워크에 노출될 수 있는 구조적 연결고리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ETF, 파생상품, 결제 연동 서비스 등 DOGE 관련 금융 상품 개발 가능성도 높아졌다.
도지코인 시세 분석 – 1달러 도달할까?
트레이딩뷰 차트에 따르면, 도지코인은 최근 몇 주간 이어진 상승 쐐기형 패턴(Wedge Pattern) 을 하방 돌파하며 단기 약세 구간에 진입했다.
0.18달러까지 급락했지만 이후 반등하며 0.20달러선을 회복한 상태다.
-
RSI(상대강도지수) 는 38 수준으로 여전히 중립 이하지만 과매도 영역에는 도달하지 않았다.
-
0.22달러를 돌파 후 유지할 경우 0.30달러까지 상승 가능성이 있으며, 강한 매수세가 동반되면 0.50달러대 재진입도 시야에 들어온다.
-
반대로 0.18달러가 붕괴되면 0.15달러 구간이 최종 지지선이 될 수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DOGE가 1달러를 향한 여정은 단기 변동을 거치더라도 제도권 편입 효과와 결제 실사용성 확대로 인해 장기적으로 유효하다”고 본다.
차세대 밈코인으로 부상하는 ‘맥시 도지 (Maxi Doge)’
한편 도지코인의 강세와 별개로, 시장은 새로운 밈코인 맥시 도지(Maxi Doge, MAXI) 에 주목하고 있다.
이더리움 기반으로 출시된 맥시 도지는 도지코인의 재치와 유머 감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다 정교한 토크노믹스와 고수익 스테이킹 구조를 결합했다.
맥시 도지의 프리세일은 이미 360만 달러 이상을 모금했으며, 전체 공급량의 40%를 일반 투자자에게 직접 분배해 고래(대형 투자자) 중심 구조를 방지했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또한, 프리세일 참여자는 스테이킹을 통해 연 84%의 예상 수익률(APY) 을 받을 수 있다.
맥시 도지는 “도지코인의 유산을 계승하면서 새로운 웹3 세대에 맞게 진화한 밈코인”으로 평가받으며,
다가올 밈코인 시즌의 핵심 플레이어로 떠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