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해외코인거래소 순위 및 추천 | |||
![]() |
![]() |
![]() |
|
| 거래량 | 11조 | 3.5조 | 9.5조 |
|---|---|---|---|
| 언어 | 영어 | ★한국어지원 |
영어 |
| 수수료 | - 지정가 : 0.02% - 시장가 : 0.04%(1위) |
- 지정가 : 0.02% - 시장가 : 0.03% |
- 지정가 : -0.025% - 시장가 : 0.075% |
| 분야 | 현물(1위) |
현물+선물 (강추!) |
선물(1위) |
| 회원가입 | 회원가입 | 회원가입 | 회원가입 |
| 할인코드 | 20% 할인 | 50% 할인 | 20% 할인 |
FOMC 완화에도 힘 못 쓰는 비트코인… 10만 8,900달러 ‘사수전’
2025.10.31 02:50
FOMC 완화에도 힘 못 쓰는 비트코인… 10만 8,900달러 ‘사수전’
미 연준(Fed)이 기준금리를 4.25% → 4.00%로 인하했음에도 시장은 ‘완화 전환’에 과열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단기 변동성은 커졌지만 비트코인은 여전히 10만 8,900달러 부근에서 공방을 벌이고 있고, 약세 바이어스도 그대로다.
이날 비트코인 가격을 떠받칠만한 재료가 없었던 건 아니다.
-
독일 제1야당 AfD가 비트코인을 ‘국가 전략 자산’으로 편입하자는 제안을 내놨고,
-
채굴 기업 테라울프(TeraWulf) 는 AI 전환을 목표로 5억 달러 전환사채 발행 계획을 발표했으며,
-
바이낸스는 온체인 분석 서비스 버블맵스(Bubblemaps)와 손잡고 토큰 분배·내부자 의심 트랜잭션을 시각화하는 기능을 도입한다고 알렸다.
그럼에도 시장은 “완화는 맞지만, 리스크자산이 곧바로 폭등하는 환경은 아니다”는 쪽에 무게를 실었다. 결국 10만 8,900달러가 단기 방향성을 가르는 핵심 레벨이 됐다.
독일 AfD “비트코인, 금처럼 국가가 들고 가자”
독일 최대 야당인 ‘독일을 위한 대안(AfD)’ 이 연방하원에 제출한 안건의 요지는 명확하다.
-
비트코인을 다른 암호화폐와 분리해서 보자 – EU의 MiCA 규제 틀에 싸잡아 넣지 말 것
-
1년 이상 보유 시 양도세 면제 유지 – 독일이 가진 ‘장기 보유 무과세’ 장점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
-
자기수탁(Self-custody) 권리 보장 – 커스터디 강제는 혁신을 막는다
-
국가 차원의 비트코인 비축 검토 – 중앙은행이 금을 들고 가듯이 BTC도 일정 부분 보유하자는 제안
이는 최근 프랑스와 EU 일부에서 나오는 “블록체인·가상자산 산업을 유럽 안으로 끌어와야 한다”는 움직임과 궤를 같이한다. 유럽 정치권이 ‘과도한 규제 → 성장 둔화’의 후폭풍을 의식하기 시작했다는 신호로 해석되면서, BTC에도 소폭의 심리적 플러스가 됐다.
테라울프, “채굴만으론 안 된다”… AI 데이터센터로 선회
미국 채굴기업 테라울프(TeraWulf) 는 텍사스주 에버내시에 AI 데이터센터를 신설하기 위해 2032년 만기 전환사채 5억 달러를 찍겠다고 했다. 수요가 괜찮으면 7,500만 달러를 더할 수도 있다.
핵심은 비트코인 채굴에서 “전력·인프라 → AI 컴퓨팅으로 재할당” 하는 방향이다.
-
모건스탠리가 들어간 30억 달러급 조달을 이미 마쳤고
-
구글 지급보증이 붙은 14억 달러 규모 계약
-
구글이 지원하는 플루이드스택과의 37억 달러 호스팅 계약까지 이어가며 “채굴기업도 AI 시대에 살아남는 법”을 보여주려는 모양새다.
시장에선 “채굴업계도 GPU·AI 인프라로 도는 구간이 왔다”는 인식이 퍼졌고, 이는 비트코인 채굴 산업 전반이 ‘가격만 보는 산업’ → ‘인프라·컴퓨팅 비즈니스’ 로 진화하는 흐름으로 읽혔다.
바이낸스 × 버블맵스… 온체인 ‘속사정’ 들여다본다
바이낸스는 온체인 시각화 툴로 유명한 버블맵스(Bubblemaps) 와 제휴해 웹3 지갑 사용자들이 토큰 분배 구조와 지갑 간 연결 관계를 바로 볼 수 있는 기능을 붙인다.
-
특정 토큰이 개발팀·내부자 지갑에 과도하게 몰려 있는지
-
새로 상장된 토큰인데도 동일 주체로 보이는 주소가 물량을 쥐고 있는지
-
과거 ‘멜라니아 토큰’ 스캠처럼 사전에 묶여 있던 지갑이 있는지
이걸 버블 형태로 바로 보여주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거래소 입장에선 투명성 강화, 트레이더 입장에선 “이거 내부자 아니야?”를 미리 보는 필터를 얻게 되는 셈이라 시장에서는 대체로 호평이 나왔다.
기술적 관점: 10만 8,900달러가 깨지면 아래는 비어 있다
지금 차트의 포인트는 단순하다.
-
10만 8,900달러
-
23.6% 피보나치 되돌림과 겹치는 자리
-
10월 초부터 이어져 온 상승 채널의 하단과도 거의 일치
-
최근 4시간봉에서 아랫꼬리 긴 캔들이 여러 번 나온 → 저점 매수세 확인 구간
-
-
RSI
-
단기 과매도권 언저리
-
기술적 반등이 나와도 이상할 게 없는 위치
-
-
상방 전환 확인선
-
11만 700달러 위에서 일봉 마감 시 → 11만 2,200달러 → 11만 4,950달러까지 열림
-
-
하방 리스크
-
10만 8,900달러 깨지면 10만 6,100달러, 거기서도 못 버티면 10만 3,500달러대까지 열려 있음
-
트레이딩 아이디어 예시
-
보수파: 10만 9,000달러 회복 후 롱 진입 → 목표 11만 4,950달러 → 손절 10만 8,400달러
-
공격파: 10만 8,900달러 근처 스캘핑 매수 → 11만 700달러까지 단타 관점
비트코인 하이퍼(HYPER)도 다시 조명
최근 온체인 활동이 늘면서 ‘비트코인 보안 + 솔라나 속도’ 를 내세운 비트코인 하이퍼(HYPER) 가 재차 언급되고 있다.
-
SVM 기반 L2 구조
-
비트코인 메인넷에 최종 기록
-
디앱·밈코인·저렴한 스마트컨트랙트까지 비트코인 생태계 안으로 끌고 오겠다는 설계
현재 프리세일 모금액은 2,500만 달러 이상, 토큰 가격은 $0.013195 선으로 안내되고 있으며 하루 뒤 한 차례 가격 인상이 예고돼 있다는 설명이다.
아직은 초기 단계라 개발 완성도와 실제 온체인 트래픽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지만, “비트코인 위에서 실제로 쓰는 것” 을 표방하는 프로젝트들이 하나둘씩 살아나는 흐름과 맞물려 관심을 끌고 있다.




